"15억이 서민 아파트?"… 민심과 동떨어진 여당 의원의 발언, 파문 확산

야권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맹공을 퍼부었다. 국민의힘 김재섭 의원은 SNS를 통해 "15억짜리 아파트가 서민 아파트라니, 이재명 정부에서는 중산층은커녕 서민이 되는 것도 힘들어져 버렸다"고 꼬집으며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론과 직접 연결했다. 손범규 대변인 역시 논평에서 "서민 아파트를 15억원 이하라는 민주당 의원의 언급에 국민이 분노하고 있다"며 들끓는 여론을 대변, 공세의 수위를 한껏 끌어올렸다. 야권의 이러한 공세는 복 의원 개인의 실언을 넘어,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전반에 대한 불신을 확산시키고, 민심 이반을 가속화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논란의 중심에 선 복 의원은 국정감사장에서 자신의 발언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하고 나섰다. 그는 해당 발언이 서울의 평균 아파트 가격이 14억 6000만 원에 달하는 현실을 언급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양극화로 인해 중산층의 개념이 모호해진 상황에서 '서민'이라는 단어를 급하게 선택한 것이 오해를 불렀다고 해명했다. 복 의원은 자신 역시 10억 미만의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으며, 서울 시민의 70%가량이 비슷한 상황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행여나 저의 발언이 마음의 상처가 됐다면 공인으로서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지 못한 것에 대해 스스로 아쉽고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거듭 사과의 뜻을 밝혔다.
복 의원의 해명과 사과에도 불구하고 파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의 해명이 '서민'이라는 단어 선택의 부적절함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여당 핵심 관계자의 현실 인식이 일반 국민의 눈높이와는 한참 동떨어져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결과적으로 이번 발언은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더욱 키우는 동시에, 야권에게는 정국 주도권을 가져올 수 있는 호재로 작용하게 됐다. 한 정치인의 말 한마디가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아킬레스건을 건드리며, 정쟁의 새로운 불씨를 지핀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