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 속 숨겨진 '독성 물질'... 아기를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하게 만드는 범인은?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엄마가 무심코 사용한 일회용 컵과 포장재 등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이 모유를 통해 자녀에게 전달돼 면역체계를 교란하고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밝혀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 바이오신약중개연구센터 이다용 박사 연구팀은 임신한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했으며, 이는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이 다음 세대까지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플라스틱 제품들이 단순한 환경 오염을 넘어 인류의 건강, 특히 미래 세대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연구팀은 임신 및 수유 중인 어미 쥐에게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미세플라스틱을 섭취시켰다. 놀랍게도, 어미 쥐가 섭취한 미세플라스틱은 모유를 통해 새끼 쥐의 체내로 고스란히 전달되었고, 특히 면역세포를 조절하는 핵심 장기인 비장에 축적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새끼 쥐의 비장에서는 면역체계의 심각한 불균형이 나타났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파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T세포와 NK세포(자연살해세포)와 같은 핵심 면역세포의 수는 현저히 감소한 반면,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B세포는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미세플라스틱이 단순히 체내에 머무는 것을 넘어 면역 시스템의 정교한 균형을 무너뜨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세플라스틱 노출로 인한 이러한 면역 불균형은 새끼 쥐의 성장기 내내 지속적인 악영향을 미쳤다. 항바이러스 면역물질인 인터페론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저하되는 등 면역 발달 과정 전반이 심각하게 교란되어, 감염에 대한 저항성이 크게 약화된 것이다. 연구팀은 이를 명확히 증명하기 위해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쥐들과 정상 쥐들을 H1N1 신종플루 바이러스에 감염시키는 추가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쥐들은 정상 쥐들에 비해 바이러스 감염 후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고 회복 속도가 현저히 느렸으며, 바이러스 억제 능력 또한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미세플라스틱이 단순한 이물질이 아니라, 실제 감염병에 대한 우리 몸의 방어 능력을 무너뜨리는 치명적인 유해 요인임을 명백히 입증하는 결과이다.
이번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이 세대를 넘어 면역체계를 교란시킬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세계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연구 책임자인 이다용 박사는 "이번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이 세대를 넘어 면역체계를 교란시킬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첫 사례"라며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음식과 물 등 생활 속 미세플라스틱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력히 강조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적인 과학 저널인 《저널 오브 해저드스 머티리얼스(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온라인판에 지난 15일 게재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전 지구적인 노력과 개인의 실천이 시급함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중요한 연구 결과이다.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