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냐, 돈이냐"…232년 전통의 1센트, 결국 '효율성' 앞에 무릎 꿇다
1793년 첫선을 보인 이래 232년간 미국의 화폐 역사를 지켜온 1센트 동전이 마침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 조폐 시설에서는 마지막 일반 유통용 1센트 동전의 생산이 이뤄지며 한 시대의 종언을 고했다. 이번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액면가를 훌쩍 뛰어넘는 제조 비용 문제를 지적하며 재무부에 신규 발행 중단을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1센트 동전 하나를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1.69센트에 달해, '만들수록 손해'인 비효율적인 구조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번 생산 중단 조치로 미국 정부는 연간 약 5600만 달러(약 823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화폐 단위의 변화를 넘어, 국가 경제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려는 강력한 의지의 표명으로 해석된다.물론 당장 시중에서 1센트 동전이 자취를 감추는 것은 아니다. 일반 유통용 동전의 생산은 멈추지만, 이미 발행되어 시중에 풀린 약 3000억 개의 1센트 동전은 여전히 법정 화폐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며 계속 사용된다. 따라서 일상적인 상거래 활동에서 1센트 동전을 사용하거나 거스름돈으로 받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다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통량이 줄어들고, 점차 다른 결제 수단으로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국 재무부는 화폐 수집가들을 위한 수집용 1센트 동전은 앞으로도 제한적으로 계속 생산할 예정이라고 밝혀, 역사적 가치를 지닌 1센트 동전에 대한 수집 열기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이는 화폐의 실용적 가치와 상징적 가치를 분리하여 접근하는 유연한 정책적 판단으로 평가된다.

미국의 이번 결정은 비단 미국만의 특수한 상황은 아니다. 이미 캐나다, 호주, 아일랜드, 뉴질랜드 등 여러 국가가 비슷한 이유로 자국의 최고액면가 동전 생산을 중단한 바 있다. 이들 국가 역시 제조 비용 부담과 화폐 사용 패턴의 변화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과감한 결정을 내렸다. 특히 신용카드, 모바일 결제 등 비현금 결제 수단이 보편화되면서 소액 동전의 필요성 자체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전 세계적인 '동전 없는 사회'로의 전환 추세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1센트 동전 생산 중단은 이러한 거대한 흐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또 하나의 중요한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232년 역사의 미국 1센트 동전 생산 중단은 단순한 화폐 정책의 변화를 넘어,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상징적 사건이다.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실용주의적 판단과 비현금 결제 사회로의 전환이라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맞물린 결과물인 셈이다. 비록 주머니 속에서 짤랑거리던 1센트 동전은 점차 보기 힘들어지겠지만, 그 속에 담긴 미국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는 화폐 수집가들의 손에서, 그리고 박물관의 기록 속에서 오랫동안 기억될 것이다. 앞으로 미국 사회가 1센트 동전의 부재에 어떻게 적응해 나갈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다른 국가들의 화폐 정책에는 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